풍선효과(Balloon Effect)
2019. 9. 24. 01:40ㆍ금융/경제시사용어
풍선효과
[balloon effect]
풍선의 한 곳을 누르면 다른 곳이 불거져 나오는 것처럼 문제 하나가 해결되면 또 다른 문제가 생겨나는 현상. 특정 지역의 집값을 잡기 위해 규제를 강화하면 수요가 다른 지역으로 몰려 집값이 오르는 현상도 이에 속한다.
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19092023731
[테샛 공부합시다] '풍선효과'는 잘못된 정책이 부작용 만들 때 쓰죠…규제는 대부분 의도와 달리 새로운 문제 유발해요
지난 8월 주요 대형 은행이 개인에게 신용으로 대출해준 규모가 이전 달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 8월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총 596조7941억원, 그중 개인 신용대출 잔액은 105조2660억원이다. 이는 7월 말보다 1조6479억원 늘어난 규모다. 여러 원인이 있지만, 정부가 급증하고 있는 가계부채를 막기 위해 주택담보대출을 규제한 것이 가장 큰 이유로 작용했다. 즉, 주택담보대출 규제로 자금 사정이 어려워진 개인들이 부족한 자금을 신용대출로 대체했
www.hankyung.com
'금융 > 경제시사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낸셜 노마드(Financial Nomad) (0) | 2019.09.28 |
---|---|
P2P 금융(Peer-to-Peer) (0) | 2019.09.24 |
지속가능채권(Sustainability Bond) (0) | 2019.09.24 |
공공기관 직무급제 (0) | 2019.09.24 |
5% 룰 / 10% 룰 (0) | 2019.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