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진의 유형
승진의 유형 1. 직무(직급) 승진 직무 중심적 능력주의에 입각한 것으로 종업원이 상위직급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승진정체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2. 자격승진 (직능자격제도) 종업원이 갖추고 있는 직무수행능력을 기준으로 승진시키는 것으로 ‘직능자격제도’라고도 하며, 종업원의 능력신장을 인정하여 승진정체로 인한 유능한 인재의 이직을 막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그러나, 종업원이 과잉능력 상태가 되면 직무에 대한 불만족이 나타나며 단기적으로 기업에서 인건비가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3. 대용승진 (예결원, 주금공 경영학 기출) 책임, 직무의 승진 없이 보수와 지위만 승진하는 형식적 승진을 말한다. 이는 인사체증과 사기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활용된다. 4. 역직승진 주임, 계장, 과장, 부장 등으로 승진하는 것인..
2019.09.24